[리뷰] ‘오케피’, 중년 관객도 웃음을 참지 못하는 ‘배꼽 분실’ 뮤지컬
입력 2015.12.21 15:13:00
미디어스 – 박정환 기자
2015년 한국 뮤지컬계의 겨울은 ‘죽은 신작의 사회’(영화 ‘죽은 시인의 사회’를 패러디)라고 표현해도 과언이 아닐 정도로 신작 뮤지컬이 궤멸 상태에 빠졌다. 알고 보면 작품성이 검증된 재연작을 올린다 해도 사연이 제각각이다.
![]() |
||
▲ 뮤지컬 <오케피> 컨덕터 역 황정민, 하프 연주자 역 윤공주 ⓒ샘컴퍼니 |
황정민의 ‘모험’이 아니었다면 올 겨울 뮤지컬계는 신작 뮤지컬이 멸종된 사태를 맞이했을 수도 있다. 하지만 황정민은 안정주의 대신에 과감한 선택을 감행했다. 일본 뮤지컬 <오케피>를 국내 최초로 선보임으로 신작 뮤지컬의 전멸 사태를 방지할 수 있었으니 말이다.
<웃음의 대학>으로 널리 알려진 일본 작가 미타니 코우키가 만든 <오케피>는, 뮤지컬에 없어서는 안 되는 사람들이면서 동시에 관객이 잘 모르는 ‘오케스트라 피트’의 다양한 인간 군상을 코믹하게 그린 뮤지컬이다.
(중략)
<오케피>는 남자들의 착각이 여자의 속마음과는 얼마나 차이가 있는가를 보여주는 ‘남녀 심리 설명서’이기도 하다. 컨덕터와 기타는 윤공주와 린아가 연기하는 하프가 자신을 사랑한다고 착각하는 캐릭터다. 하지만 하프는 기타와 컨덕터에게 잘해줄 뿐 이성적으로 접근할 생각을 갖지 않는 여성이다.
하프의 오지랖 넓은 대인관계는 기타와 컨덕터로 대변되는 남자로 하여금 여성이 자신을 사랑한다고 착각하게 만든다. <오케피>라는 코믹 뮤지컬은 여자가 남자에게 잘 대해준다고 해서 여자가 남자를 이성적으로 염두에 두는 것이 아님을 보여준다. 이러한 남녀 심리의 차이점을 보여주기에 <오케피>는 ‘남녀 심리 설명서’로 표현해도 과언이 아니다.
(중략)
단, 기존에 익숙한 쇼뮤지컬과는 달리 이번 뮤지컬은 연극처럼 대사가 많다는 점을 염두에 두어야 한다. <키사라기 미키짱>이나 <너와 함께라면>과 같은 일본식 유머에 익숙하다면 <오케피>를 200% 즐길 수 있을 것이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원문을 참고해주세요>
전체기사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