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리뷰DA:다] 뮤지컬 ‘아리랑’, 이제 듣기만 해도 눈물이 납니다
입력 2015-08-03 20:23:00
공연이 마치고, 배우와 관객이 함께 ‘아리랑’을 부른다. 누군가의 손수건은 적셔지고, 누군가는 코를 훌쩍거리며 눈물을 참는다. 이 땅에서 가장 가슴 아프던 그 시절을 겪어든, 겪어보지 않았든 한 민족이라는 이유만으로도 느껴지는 하나의 감정. 억울하고 서글펐지만 참아내고 꿋꿋하게 살아낸 민초들의 의지가 담긴 ‘아리랑’의 노래 가락이 광복 70주년이 지금에도 흘러나왔다.
작가 조정래가 5년에 걸쳐 ‘한국일보’에 연재했고 1000만 독자에게 사랑 받은 대하소설 ‘아리랑’이 뮤지컬로 새 생명을 얻어 숨 쉬게 됐다. 일제강점기 시절을 살아냈던 민초들의 삶과 사랑, 그리고 투쟁의 역사를 담은 이 작품은 원작 12권의 방대한 분량임에도 깔끔하게 무대로 옮겨져 진일보한 한국뮤지컬을 보여줬다.
(중략)
● 주·조연부터 앙상블까지 단연 최고의 기량
우리 민족의 이야기라서 그런 것일까. 조금 과장을 보태면 배우들의 눈이 어느 때보다 반짝이는 것 같다. 한 마디로 최고의 기량을 선보인다.
가장 눈에 띄는 배우는 방수국 역을 맡은 윤공주다. 극 시작에서 “나는 득보 사랑허재”라면서 발랄하게 등장하는 그는 고난과 유린의 세월을 몸소 감내하며 과거 우리네 여인들이 어찌할 도리 없이 겪어야 했던 아픔을 세심하게 표현했다. 그럼에도 득보를 향한 사랑을 지키고 삶을 포기하지 않은 채 버텨낸다. 마치 민초들의 삶이 그러했던 것처럼 말이다. 특히 양치성에 대한 분노를 대사가 아닌 몇 분간의 부르짖음은 압권이다.
또한 ‘아리랑’의 신데렐라는 국악인 이소연이다. 국립창극단의 대표 배우인 이소연은 ‘아리랑’을 통해 뮤지컬 데뷔를 무사히 치렀다. 우리 가락이 넘치는 ‘아리랑’에 이소연의 소리가 더해지면 그 파괴력은 실로 대단하다. 수국의 친구로서 수난의 나날들을 이겨내는 옥비 역의 이소연은 관객들에게 그만의 구성진 소리로 한국의 흥과 한을 오롯이 선사한다.
양치성 역을 맡은 김우형 역시 미워할 수 없는 악역을 연기한다. 극중 양치성은 우리가 생각하는 나쁜 친일파라고만 생각할 수 없는 어지러운 시대가 낳은 또 다른 피해자다. 캐릭터를 연기한 김우형은 악인과 피해자라는 경계선의 중심을 잘 잡으며 연기한다. 이와 반대 성격인 독립을 위해 애쓰는 의식 있는 양반 송수익 역을 맡은 서범석은 민족의 지치지 않는 투쟁을 상징하듯 밟아도 다시 일어나는 민족의 모습을 대표적으로 선보였다. 감골댁 김성녀 역시 인고의 어머니상을 카리스마 있는 연기로 승화시켜 관객들을 눈물지게 한다.
<자세한 내용은 기사원문을 참고해주세요>
전체기사보기